내가 읽은 책

불평없이 살아보기

최고선수 2016. 10. 30. 15:08

             불평없이 살아보기

                                     삶의 기적을 이루는 21일간의 도전                        

                                                                            윌보웬 지음/김민아 옮김


머리말 -자신을 마꿀 수 있는 사람이 세상을 바꾼다

  "당신의 입 밖으로 나오는 것이 당신이 하고자 하는 것이다!"

  "믿은대로 될지어다." 예수,[마태복음]8장 13절

  "우리의 인생은 우리의 생각이 만드는 것이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우리의 생각이 우리를 만든다. 즉, 우리가 생각하는 것이 우리가 된다." 붓다

  "당신의 생각을 바꾸어라. 그러면 당신의 세계가 바뀐다." 노먼 빈센트 필

  "오늘의 당신은 당신의 생각이 데리고 온 곳에 있으며, 내일의 당신은 당신의 생각이 데리고 갈 곳에 있게 된다." 제임스 앨런

  "사려깊고 의지가 굳건한 소수의 시민들이 세상을 바꿀 수 있음을 결코 의심하지 말라. 실로 세상을 바꾼 이는 그런 소수의 사람들이다." 마거릿 미드 여사


1. 의식하지 못하고 불평하는 단계

  당신이 말하고 있는 것을 바꾸어보라. 불평을 멈추고, 당신의 말을 바꾸고, 당신의 생각을 바꾸어보라. 그러면 당신의 인생도 바뀔 것이다.

  당신은 불평을 통해 자기실현적 예언을 하게 되고, 그 일이 현실로 나타나면 그에 대해 다시 불평하는, 그런 식으로 계속 되풀이되는 "불평의 악순환'에 갇히게 되는 것이다.

  심리학자 로빈코발스키(Robin Kowalski) 박사는 "불평은 대부분 다른 사람들로부터 동정이나 인정 같은 특별한 대인관계상의 반응을 얻어내려는 심리를 동반하다. 예를 들어 사람들이 자신의 건강에 대해 불평하는 것은 실제로 아파서가 아니라 아픈 사람이라는 역할이 그들로 하여금 동정이나 피하고 싶은 일을 안 해도 되는 것과 같은 부차적인 이득을 얻게 해주기 때문이다"라고 강조한다.


2. 의식하면서 불평하는 단계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을 경우, 문제의 당사자와 직접, 그리고 그 당사자와만 그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건강한 커뮤니케이션이다. 그 문제를 다른 누군가에게 이야기하는 것은 불평이다. 그것이 바로 삼각화이며, 삼각화는 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고착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당신은 다른 사람을 변하게 할 수 없다. 사람들은 자신들이 변하고자 할 때 비로소 변할 수 있을 뿐이다. 다른 사람을 변하게 만들려고 노력하는 것은 그들로 하여금 더더욱 기존의 행동을 고수하게 만들 뿐이다.

  "가장 훌륭한 설교는 모범을 보이는 것이다."  벤저민 프랭클린

  "다른 사람들에게 가르쳐주고 싶은 것이 있다면 당신이 먼저 그것을 생활에서 실천해야 한다." 간디

  나는 자기자신에게 절망하거나 자기 자신에 대해 변명하고, 비난과 불평을 통해 타인에게 중심을 맞추기보다는 그같은 고통스러운 불안정의 시기를 받아들여야 했다. 그리고 그 과정을 거치는 동안 스스로를 지지해야만 했다. 내가 자주 불편하거나, 슬프거나, 약하거나, 쓸모없다고 느낄 때, 나는 "괜찮아. 그냥 하던 대로 하고 느끼는 대로 느끼면 돼. 이렇게 느껴도 크게 문제될 건 없어"라고 스스로에게 되뇌었다. 그러자 기적과도 같은 일이 일어났다. 내가 나 자신의 불안정함을 느끼게 되면서, 점점 불안감으 느끼는 횟수도 줄어들고 불안감을 느끼는 시간도 짧아졌다. 당신이 다른 사람들의 긍정적 변화를 유도한다는 명목으로 그들을 비난할 수 없듯이, 마찬가지로 당신 자신의 긍정적 변화를 위한다는 이유로 스스로를 비난해서는 안된다. 때때로 자신의 내면의 목소리가 비판적으로 나올 때, 나는 일기를 꺼내 내면의 목소리를 토해내곤 한다. "너, 나를 공격하다니 정말 잘했어. 나도 네가 내게 가장 좋은 것을 바라는 마음에서 그렇게 했으리라 생각해. 언제라도 네가 원하면 그런 생각들을 마음껏 표출해도 돼." 그러면 내면의 비판적인 생각은 아무런 방어도 하지 못한 채 사라져버리고 만다.


3. 의식하면서 불평하지 않는 단계

  '문제' 대신 '기회'라고

  '해야 한다' 대신 '하게 된다'라고

  '좌절' 대신 '도전'이라고

  '적' 대신 '친구'라고

  '괴롭히는 사람' 대신 '가르쳐주는 사람'이라고

  '고통' 대신 '신호'라고

  '요구하는' 대신 '감사하는'이라고

  '불평' 대신 '요청'이라고

  '고군분투' 대신 '여정'이라고

  '네가 이렇게 만들었잖아' 대신 '내가 그렇게 한 거야'라고 말해보라.


4. 의식하지 않아도 불평하지 않는 단계

  아버지는 그 같은 특이한 습관을 나한테 심어줄 의도는 전혀 없으셨을 것이다. 하지만 아버지의 행동이 그러한 결과를 낳은 것이다. 그리고 나는 내가 의도하든 의도하지 않든 간에, 이런 습관들을 내 딸 리아에게 물려주고 있다.

  나는 이제 우리 가족이 함께하는 저녁 식탁이 서로가 받은 은총과 앞날에 대한 희망을 이야기하는 자리가 된 것을 정말 다행스럽게 생각한다. 이것이 바로 내가 딸에게 물려주고 싶은 것이다. 즐겁고 행복한 시간이 되게 하자고 마음먹었고. 그대로 실천하고 있다.

맺음말- 한송이의 포도가 전체 포도를 익게 한다.

   누군가가 당신을 심하게 비난할 때 그들은 스스로의 두려움과 불안정 때문에 그렇게 하는 것임을 기억하라. 그런 것들은 그들이 약점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부터 나오며, 스스로가 실제로는 작고 약하다고 느낄 때 크고 강하게 보이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자신의 독설을 과장하는 것이다. 그들은 자신의 두려움과 불편한 마음을 다른 사람들에게 투사하고 있는 것이다.



'내가 읽은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  (0) 2016.11.15
에너지 발전소  (0) 2016.11.15
소통형 인간  (0) 2016.10.17
사려 깊은 수다  (0) 2016.10.17
그림책에 흔들리다  (0) 2016.10.11